본문 바로가기
Health Care

전립선 암 증상, 수술 및 치료법

by 트렌드 엣지 2025. 5. 7.

남성암 발생률 2위 (25년 현재 1위)인 전립선 암은발생률과 사망률이 향후 20년간 두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전립선암의 증가 요인으로는 고령화에 따른 노화,식생활의 서구화 등의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전립선 암은 다른 암에 비해 생존율이 높은 암(갑상선암/ 전립선암/ 유방암)입니다.

제 때에 치료를 받고, 정해진 외래 날짜를 잘 지키고 일 년에 한 번 정기적으로 PSA 검사를 잘 진행한다면 예후가 굉장히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전립선 이란?


남성에만 존재하는 부성선 기관으로, 방광아래 요도사이에 위치합니다.
 



◈ 전립선암의 원인

 
위험인자 - 가족력, 노화, 남성호르몬, 식생활의 서구화

전립선암 환자는 '균형 잡힌 식단'이 중요합니다.

⊙ 우유( 장이 민감하다면 락토프리 우유) 혹은, 두유
⊙ 적절한 고기 섭취
⊙ 적절한 탄수화물 섭취
⊙ 당뇨 및 고혈압 등 만성질환 관리
⊙ 운동(만보 걷기)
 
 
 

 
 

 

 

◈ 전립선암의 증상

 
⊙ 초기 - 무증상
⊙ 진행 - 배뇨증상
⊙ 말기 - 전신 전이 (뼈 통증 등)

 
 
 

◈ 전립선 암 검사 방법

 
직장수지검사

(손가락을 항문에 넣어서) 검사를 통해 암의 정도를 확인합니다.

PSA 전립선 조직 검사

PSA(Prostate-Specific Antigen, 전립선 특이 항원) 검사는 혈액 속에 존재하는 PSA 수치를 측정하는 혈액 검사입니다.

PSA는 전립선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전립선암뿐만 아니라 전립선 비대증이나 전립선염 등의 질환에서도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PSA 검사 정상 범위

일반적으로 PSA 수치가 4.0ng/mL 이하이면 정상으로 간주됩니다.

4.0~10.0ng/mL: 전립선암 가능성이 있으며 추가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10.0ng/mL 이상: 전립선암 가능성이 높아 조직 검사를 권장합니다.


MRI 암 검사

암을 진단하기 위한 치료의 보조 역할로 암 확진이 아닌 조직 검사를 잘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뼈 스캔

전립선암 뼈전이 유무 확인 검사를 위함입니다.
 
 

 

 

◈ 전립선암 수술방법

 
과거에는 대부분 개복 수술을 했지만, 최근에는 다빈치 로봇 시스템, 단일공 로봇 수술등 로봇을 이용한 수술이 행해집니다.
 
 

 

 

◈ 로봇 전립선암 수술의 장점

 


요실금 위험 감소

로봇 수술은 정밀한 봉합이 가능하여 방광과 요도를 최대한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수술 후 요실금 발생률이 줄어들고, 회복속도도 빨라집니다.
 

출혈 및 합병증 위험 감소

로봇 전립선암 수술은 출혈량이 적고, 수혈이 필요한 확률이 낮습니다. 
또한, 개복 수술보다 감염이나 혈전 등의 합병증 위험이 적어 안전성이 높습니다.
 

신경과 혈관 보존으로 부작용 감소

전립선 주변에는 발기 신경(음경 신경)과 방광 조절 신경이 밀집해 있는데, 로봇 수술을 통해 이러한 신경과 혈관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습니다. 

그 결과, 수술 후 성기능 장애(발기부전) 및 요실금 발생률이 낮아집니다.


정밀한 림프절 절제 가능

전립선암이 진행된 경우 림프절 전이를 확인하기 위해 림프절 절제술이 필요한데, 로봇 수술을 통해더욱 정밀하게 림프절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암 치료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이 밖에 로봇 수술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술부위 상처 최소화

■ 종양 제거

■ 재원 기간 감소

■ 통증 최소화

■ 미용상 장점
 
 

 

 

 

◈ 전립선암의 전신 약물 치료

 

 
호르몬 치료 (1차,2차 약제)

주사제 : LHRH agonist 계열

경구 약제 (비칼루타마이드)

신약 (자이티가 , 엑스탄디)

호르몬 치료제 부작용: 갱년기증상

 
항암제 치료

 독소루비신 (Docetaxel, 도세탁셀)

-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전립선암 항암제
-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CRPC)에서 1차 치료제로 사용
- 미세소관(Microtubule)의 기능을 방해하여 암세포 분열을 막음
- 부작용: 탈모, 피로감, 면역력 저하, 감염 위험 증가
 

카바지탁셀 (Cabazitaxel) (제브타나)

- 도세탁셀 치료 후 효과가 없거나 내성이 생긴 경우 사용
-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CRPC)의 2차 치료제로 사용
- 부작용: 백혈구 감소, 설사, 피로, 구토

 
 
 
■ 유전자 치료 2025년

항암제치료 전 또는 후에 치료합니다.

부작용이 적은 편 입니다.

약제비가 고가입니다.
 
 

 
 

전립선 암 진단을 받았다면, 균형 잡힌 식단으로  (고기, 우유, 야채) 골고루 섭취하는 식사를 하도록 합니다. 

스트레스 받지 않기, 술 담배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