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rt Life

어르신 보행 보조기구 선택 시 유의사항

by 트렌드 엣지 2025. 5. 8.

어르신들의 안전하고 독립적인 이동을 위해서는 적절한 보행 보조기구의 선택이 중요합니다.

거동이 불편하거나 뭄이 자유롭지 못한 어르신들의 필수품, 보행 보조기구의 종류와 선택 시 유의할 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팡이

 
■ 일반 지팡이: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가벼운 보행 보조가 필요한 경우 사용합니다.

■ 4발 지팡이: 바닥에 닿는 부분이 4개로 안정성이 높아 균형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지팡이 선택 시 유의사항

■ 높이 조절: 사용자의 키와 팔 길이에 맞게 조절가능한 지팡이를 선택해야 합니다.

■ 손잡이 디자인: 손에 무리가 가지 않는 인체공학적 디자인이 좋습니다.

■ 미끄럼 방지: 바닥과 접촉하는 부분에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성인용 보행기

 
■ 고정형 워커(Walker): 바퀴가 없는 형태로, 사용자가 들어 올려 이동합니다.
안정성이 높아 초기 보행 훈련이나 실내 사용에 적합합니다.

■ 바퀴 달린 워커(Rolling Walker): 앞쪽에 바퀴가 있어 밀면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바퀴의 유무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모델이 있으며,실내외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 롤레이터(Rollator): 4개의 바퀴와 브레이크,좌석이 있는 보행기로, 휴식이 필요할 때 좌석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실외 활동이나 장거리 이동에 적합합니다.
 

성인용 보행기 선택 시 유의사항

■ 안정성: 사용자의 체중과 신체 조건에 맞는 보행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특히, 고정형 워커는 안정성이 높아 균형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 조절 가능성: 손잡이 높이 조절 기능이 있어야 사용자의 키에 맞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 무게: 가벼운 소재로 제작된 보행기는 이동과 보관이 용이합니다. 그러나 너무 가벼우면 안정성이떨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무게를 고려해야 합니다.

■ 접이식 기능: 보관 및 운반의 편의를 위해 접이식 기능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부가 기능: 롤레이터의 경우 브레이크 시스템, 좌석, 수납공간 등의 추가 기능이 있는지 확인하여 사용 목적에 맞게 선택해야 합니다.

■ 사용 환경: 주로 실내에서 사용할지, 실외에서사용할지에 따라 보행기의 종류를 선택해야 합니다.예를 들어, 롤레이터는 실외 활동에 적합하며, 고정형 워커는 실내 사용에 적합합니다.

 
 

휠체어

 
수동 휠체어

■ 표준형 수동 휠체어: 사용자가 직접 바퀴를 돌려이동하는 기본 형태의 휠체어입니다. 
상지 근력이 충분한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 경량형 수동 휠체어: 가벼운 소재로 제작되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우수합니다. 
그러나 내구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 환경을 고려해야 합니다.
 
 

 
 

전동 휠체어

■ 실내용 전동 휠체어: 실내에서의 이동을 위해 설계된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좁은 공간에서도 기동성이 뛰어납니다.

■ 실외용 전동 휠체어: 다양한 지형에서 안정적인주행이 가능하도록 견고하게 제작되었으며, 배터리 용량이 커 장거리 이동에 적합합니다.
 

 
 
 

틸트 및 리클라인 휠체어
 
■ 틸트 휠체어: 좌석 전체가 기울어지는 기능을 통해 압력 분산과 자세 변화를 지원합니다.

■ 리클라인 휠체어: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는 기능으로, 사용자의 편안한 자세 유지와 휴식을 도와줍니다.

 


 

휠체어 선택 시 유의할 점

 

■ 사용자의 신체 조건

체중과 신장: 사용자의 체격에 맞는 휠체어를 선택해야 합니다. 
좌석 폭, 깊이, 높이 등이 사용자의 신체 치수에 부합해야 편안한 착석이 가능합니다.

상지 근력: 상지 근력이 부족한 경우 전동 휠체어나보조 추진 장치가 있는 수동 휠체어를 고려해야 합니다.


■ 사용 환경

실내 사용: 좁은 공간에서의 기동성이 중요하므로컴팩트한 디자인의 휠체어가 적합합니다.

실외 사용: 다양한 지형과 날씨 조건을 고려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안정적인 휠체어를 선택해야 합니다.


■ 이동 및 보관

접이식 여부: 차량에 실거나 보관할 때 공간 활용을 위해 접이식 기능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무게: 가벼운 휠체어는 이동과 취급이 용이하지만,안정성과 내구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배터리 수명(전동 휠체어의 경우): 한 번 충전으로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확인해야 합니다.


■ 추가 기능

쿠션 및 등받이: 장시간 착석 시 편안함을 제공하는쿠션과 인체공학적 등받이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액세서리: 팔걸이, 발판, 안전벨트 등 추가적인 편의 기능이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제공되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보조기구 선택 시 공통 유의사항

 
■ 전문가 상담: 재활의학과 전문의나 물리치료사등 전문가와 상담하여 개인의 신체 상태와 필요에맞는 보조기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사용 교육: 보조기구 사용법을 숙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정기 점검: 보조기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해야 합니다.
 

 

적절한 보행 보조기구의 선택과 올바른 사용은 어르신들의 삶의 질 향상과 안전한 일상생활에 큰 도움이 됩니다.